반응형
우리의 몸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는데 호르몬은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런 호르몬 분비량에 변화가 생기면 신체에도 이상징후가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중년 여성에게 찾아오는 갱년기도 호르몬 분비량 감소에 따른 신체변화라고 할 수 있다.
여성호르몬은 35세를 전후로 서서히 분비량이 감소하기 시작한다. 그러면서 40대, 혹은 50대에 폐경이 찾아오며 이에 따라 신체적 증상들이 동반되기도 한다. 한국인의 평균 폐경 연령은 49.7세로 대개 50세 전후로 갱년기가 찾아오는 것이다. 갱년기로 인해 동반되는 증상은 개인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심하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으며, 건강상의 문제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관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갱년기가 의심되는 몇 가지 증상
1. 얼굴이나 목 등이 화끈거리고 잘 달아오른다.
2. 이유 없이 가슴이 두근거리고 불안하다.
3. 밤에 잠이 잘 올지 않는다.
4. 가슴이 답답하거나 통증이 있다.
5. 성욕이 감소된다.
6. 쉽게 피로하고 전신에 힘이 없다.
7. 두통이 심하고 이명현상 등이 발생한다.
8. 건망증이 심해진다.
9. 손이나 발, 무릎 등에 통증이 생긴다.
10. 얼굴에 주근깨가 많이 생기고 얼굴빛이 검어진다.
2. 이유 없이 가슴이 두근거리고 불안하다.
3. 밤에 잠이 잘 올지 않는다.
4. 가슴이 답답하거나 통증이 있다.
5. 성욕이 감소된다.
6. 쉽게 피로하고 전신에 힘이 없다.
7. 두통이 심하고 이명현상 등이 발생한다.
8. 건망증이 심해진다.
9. 손이나 발, 무릎 등에 통증이 생긴다.
10. 얼굴에 주근깨가 많이 생기고 얼굴빛이 검어진다.
대부분의 여성들은 여성호르몬과 갱년기를 단순하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갱년기에는 스트레스가 쉽게 쌓이거나 우울증, 안면홍조, 심장 두근거림, 안구건조, 화병 등 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는 증상이 동반될 수 있으므로 여성호르몬 분비에 불균형이 생기는 30대부터 갱년기 극복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좋다.
식물성 에스트로겐, 이소플라본이란?
식물성 여성호르몬이라 불리는 이소플라본은 인체에서 분비되는 에스트로겐과 그 기능이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폐경기 혹은 갱년기에 섭취하면 좋은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식물성 물질로 인체에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의 생식기능에도 에스트로겐은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기능을 가진 이소플라본은 여성 갱년기 증상을 호전시키는 것은 물론 남성에게도 도움을 줄 수 있다.
갱년기에 좋은 음식 BEST 5
1. 콩류
콩류에는 앞서 소개드린 이소플라본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이소플라본은 에스트로겐의 분비량을 조절해주는 작용을 하며 안면홍조나 가슴 두근거림 등의 갱년기 증상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콩은 밭에서 나는 쇠고기라 불릴만큼 영양이 풍부한 식품으로 유방암이나 심장병 위험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칡
칡에 함유된 식물성 여성호르몬 다이드제인이라는 성분은 석류에 비해 약 600배 이상 많은 양이 함유되어 있다. 칡은 갱년기 증상 및 생리통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되며, 칼슘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골다공증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 생으로 먹기는 다소 불편해 대개 칡즙으로 많이 먹는다.
3. 석류
한때 "미녀는 석류를 좋아해"라는 말이 유행한 적이 있었다. 석류는 식물성 여성호르몬이 풍부한 대표적인 과일이다. 석류에는 천연 에스트로겐이라 불리는 엘라그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갱년기 증상을 완화하고, 혈관건강을 관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비타민C도 풍부해 피부노화를 방지하는 등 피부미용에도 좋은 과일이다.
4. 자두
자두에는 보론이라 불리는 식물성 여성호르몬이 함유되어 있다. 이 보론이라는 성분이 에스트로겐 농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여 갱년기 증상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5. 호박
호박은 비타민E가 풍부해 여성 갱년기에 발생하기 쉬운 면역력 저하, 피부건조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호박씨에는 천연 에스트로겐의 일종인 리그난 및 리놀레산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갱년기 극복에 좋으며 유방암 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응형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철 기승 초미세먼지, 대비해야 하는 까닭 (0) | 2018.03.26 |
---|---|
인류가 가장 많이 먹는 약, 아스피린의 7가지 효능 및 부작용 (0) | 2018.02.23 |
물에도 권장섭취량이 있다? 물의 기능 및 올바른 수분 섭취방법 (0) | 2018.02.21 |
우리가 몰랐던 비타민P 기능, 효능 및 비타민P가 풍부한 음식 (0) | 2018.02.20 |
게르마늄팔찌 효과 알고 사자, 게르마늄의 6가지 대표 효능 (0) | 2018.02.20 |
댓글